뉴스 상세

보도자료

“정기후원 몇 건이었지?"
AI가 바로 답하는
기부 데이터 분석기 나왔다

#테크포임팩트 #테크포임팩트랩

‘테크포임팩트’ 참여 누구나리포터 랩

AI 기반 기부 분석기 ‘팬파인더’ 개발

 

“2024년 12월 유튜브 비디오 채널의 후원 성과 알려줘.”

카카오톡에서 ‘팬파인더’ 채널에 이 문장을 입력하자, 챗봇이 곧바로 답한다. 정기후원 78건, 후원금 141만5000원. 일시후원은 88건, 후원금 329만8111원. 여기에 방문자 수와 세션 수 같은 세부 정보까지 덧붙인다. 이 서비스는 인공지능(AI)을 기반으로 한 비영리 기부자 분석 솔루션, ‘팬파인더(Fanfinder)’다.

 

팬파인더 솔루션은 카카오임팩트의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 프로젝트인테크포임팩트(Tech for Impact)’에 참여한누구나리포터 랩이 개발했다. 지난해 10월부터 비영리 데이터 분석가 김자유 누구나데이터 대표를 비롯해 기획자, 개발자, 분석가 등 13명이 모여 비영리 현장에 꼭 맞는 도구를 함께 만든 것이다.

 

‘테크포임팩트’ 사업에 참여한 누구나리포터 랩의 개발 솔루션인 ‘팬파인더’ 서비스. 인공지능(AI) 기반 비영리 단체 기부자 분석 서비스이다.

 

 

◇ “기술이 임팩트를 만든다”

개발의 핵심은 ‘텍스트 투 SQL(Text to SQL)’ 기술이다. 데이터베이스 언어(SQL)를 몰라도, 일상어로 질문만 하면 AI가 자동으로 분석해 응답해주는 방식이다.

 

예를 들어 “지난달 인스타그램을 통한 후원자는 몇 명이야?”라고 질문하면 AI가 SQL 쿼리를 자동 생성해 분석하고, “지난달 인스타그램 유입 후원자는 350명이었습니다”라고 응답하는 식이다.

 

누구나리포터 랩의 랩장인 서현석 개발자는 코난테크놀로지에서 B2B 개발 경력을 쌓은 6년차 개발자다. 그는비영리나 사회문제에 큰 관심은 없었지만,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이 사회적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걸 실감했다고 말했다.

 

‘테크포임팩트’ 사업에 참여한 누구나리포터 랩의 개발자 서현석 씨(왼쪽)와 김자유 누구나데이터 대표가 지난 21일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기자와 이야기 나누고 있다. /카카오임팩트

 

김자유 대표는 “비영리 조직은 대개 데이터 분석 인력이 부족하다”며 “기술 장벽을 제로에 가깝게 낮춰야 공익 부문이 디지털 시대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다”고 강조했다.

 

 

◇ 기부자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면?

팬파인더는 특히 유튜브, 인스타그램 등 디지털 채널에서의 기부 유입 경로와 효과 분석에 강점을 지닌다. 실시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홍보 방식이 효과적이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, 모금 전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.

 

현재 누구나리포터 랩은 프로토타입 개발을 마치고, 실제 비영리 현장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. 현장 피드백을 바탕으로 기능 고도화에 나선다.

 

김 대표는기술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, 시민과 비영리 조직을 잇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라고 강조했다. 그는기술 격차는 단순히 접근성의 문제가 아니라, 공익 섹터가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창을 좁히는 일이라며우리는 그 장벽을제로수준까지 낮추는 데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.

 

 

내용전문발췌_250331_더나은미래_“정기후원 몇 건이었지?”…AI가 바로 답하는 기부 데이터 분석기 나왔다

관련 SNS